rndc (Remote Name Domain Controller) 원격으로 NS 서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틸리티이며, tcp 953 을 이용해 제어한다. 제어를 위해서는 반드시 클라이언트 PC에 NS서버의 대칭키가 존재해 야하며, 서버에서는 제어가능한 컴퓨터의 목록을 등록해야한다. 1. NS 서버의 설정 /etc/named.conf 에 controls 라는 옵션 설정이 되어 있어야한다. ------------------------ /etc/named.conf ----------------------- key "rndckey" { algorithm hmac-md5; secret "4SFIGvEhRvqmdnUzRFC0iw=="; }; controls { inet 127.0.0.1 port 953 allow { 127.0.0.1; } keys { "rndckey"; }; };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controls { inet Server_IP port 953 allow { Client_IP; } keys { "키값"; }; }; 2. 클라이언트의 설정 /etc/rndc.conf 에 제어할 NS 서버를 등록하고, /etc/rndc.key 에 제어할 NS 서버의 대칭키값이 존재해야한다. key "rndckey" { algorithm hmac-md5; secret "4SFIGvEhRvqmdnUzRFC0iw=="; }; options { default-key "rndckey"; default-server 127.0.0.1; default-port 953; };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# rndc-confgen 명령을 이용하여 rndc 키값과 옵션들 을 생성한다. 단, 모니터로 출력되기 때문에 리다이렉트로 저장한다. # rndc-confgen > 파일명 # cat 파일명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# Start of rndc.conf key "rndckey" { algorithm hmac-md5; secret "vWqBtagnZ+XfaNviixiEmA=="; }; options { default-key "rndckey"; default-server 127.0.0.1; default-port 953; }; # End of rndc.conf # Use with the following in named.conf, adjusting the allow list as needed: # key "rndckey" { # algorithm hmac-md5; # secret "vWqBtagnZ+XfaNviixiEmA=="; # }; # # controls { # inet 127.0.0.1 port 953 # allow { 127.0.0.1; } keys { "rndckey"; }; # }; # End of named.conf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# Start of rndc.conf 부터 # End of rndc.conf 까지는 /etc/rndc.conf 에 등록해야하는 내용으로 # head -n 12 파일명 > /etc/rndc.conf 명령을 이용해 간단하게 작성 이 가능 # Use with the following ... 부터 # End of named.conf 까지는 /etc/named.conf 에 등록해야하는 내용으로 # tail -n 11 >> /etc/named.conf 명령을 이용해 등록가능하지만 >> 써야 기존 내용이 없어지지 않는다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NS 설정파일 (0) | 2015.12.11 |
---|---|
NIS(Network Information Systme) 간단설정 (0) | 2015.12.11 |
원격로그서버정리 (0) | 2015.12.08 |
공개키 인증 로그인 (0) | 2015.12.01 |
DNS 위임 (Master, Slave) (0) | 2015.12.01 |